
스프링 DB 2편 - 섹션 9
·
Spring
선언적 트랜잭션과 AOP@Transactional이라는 애노테이션을 사용하여 매우 편리하게 트랜잭션을 적용하는 것을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라고 한다. 이 방식은 기본적으로 프록시 방식의 AOP가 적용된다.AOP의 핵심은, 실제 객체 대신 트랜잭션을 처리해주는 프록시 객체가 스프링 빈에 등록된다는 것이다. 또한 주입을 받을 때도 실제 객체 대신에 프록시 객체가 주입된다. 즉, 선언적 트랜잭션을 사용하면 항상 프록시를 통해서 대상 객체를 호출한다는 것이다.프록시 내부 호출만약, 프록시를 거치지 않고 대상 객체를 직접 호출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 2가지 상황에 대해 알아보자.상황 1트랜잭션이 적용된 Internal() 메서드가 내부 호출로 External() 메서드를 호출하는 상황이다. Internal() 메서..